2070년 75세이상 30.7% 고령인구 비중 OECD국 중 가장 높아진다 > 정책소식 | 정보모아
 
정책소식

2070년 75세이상 30.7% 고령인구 비중 OECD국 중 가장 높아진다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tn_textview.gif



2037년을 기점으로 우리나라 75세 이상 고령인구가 65~74세 인구보다 많아진다. 2070년에는 인구의 30.7%가 75세 이상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회원국 가운데 고령 인구 비중이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고령화 속도의 그래프도 아주 가파르다. 65세 이상 고령화 비중이 14%에서 20%로 도달하는 연수를 보면 한국의 경우 7년(2018→2025년 예상)에 불과하다. 일본 10년(1994→2004년), 미국 15년(2014→2029년), 프랑스 39년(1979→2018년)과 비교하면 얼마나 빠른지 알 수 있다. 기대여명(앞으로 생존기대기간, 2021년 조사)은 65세 이상은 86.6세까지, 75세 이상은 88.4세까지로 답해 10년 전보다 각각 2.2년, 1.6년이 늘었다.
통계청은 지난 10년간 고령자의 특성과 의식변화를 분석한 내용을 6월 16일 발표했다. 이는 700만 명에 달하는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가 고령층에 진입함에 따라 급격하게 진행되는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이번 분석은 65세 이상 고령자를 65~74세와 75세 이상으로 세분해 인구, 건강, 노동, 소득 등 부문별로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폈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2023년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18.4%, 2037년 31.9%에 달한다. 그중 75세 이상 인구는 2023년 7.7%로 65~74세(10.7%)보다 적지만 2037년에는 16.0%로 늘어나 64~75세(15.9%)를 앞지를 것으로 보인다.
생활비는 본인 또는 배우자가 부담한다고 답한 비율이 65~74세가 78.7%, 75세 이상은 46.0%(2021년 기준)였다. 이는 10년 전보다 본인·배우자 또는 정부·사회단체 지원은 증가하고 자녀·친척 지원은 감소한 것이다. 생활비 마련 방법으로는 65~74세는 근로·사업소득이 54.2%, 75세 이상은 연금·퇴직급여가 42.4%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평균 생활비에 비교해 소득수준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65~74세 가구는 59.3%, 75세 이상은 63.8%에 달했다. 노후준비에 대해서는 65~74세의 66.8%, 75세 이상은 42.7%가 ‘준비하고 있다’고 답했고 준비방법은 공적연금이 가장 많았다.





‘일하고 싶다’ 65~74세 59.6%, 75~79세 39.4%
근로의사는 10년 전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2022년 기준 65~74세의 59.6%가, 75~79세는 39.4%가 근로를 희망했는데 이는 10년 전보다 각각 11.9%포인트(P), 11.8%P 상승한 것이다. 일자리 선택 기준은 ‘일의 양과 시간대’를 가장 우선시했다. 희망 일자리 형태는 근로를 원하는 65~74세의 56.8%가, 75~79세의 79.7%가 시간제 근로를 꼽았다. 취업을 원하는 이유는 모두 ‘생활비에 보탬이 되기 위해서’가 절반을 넘었다.
인터넷 이용률도 크게 늘었다. 2021년 기준 60대는 94.5%, 70대 이상은 49.7%로 2015년 조사보다 각각 34.9%P, 31.8%P가 상승했다. 자신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상’ 또는 ‘중’이라고 생각하는 고령자도 늘었다. 65~74세는 53.2%, 75세 이상은 41.0%로 10년 전에 비해 각각 10.5%P, 6.1%P가 상승했다.
주거형태는 2020년 기준 자가가 65~74세는 73.9%, 75세 이상은 76.4%였고 월세는 각각 15.1%, 11.9%였다. 이는 10년 전보다 65~74세의 경우 자가·전세 비중은 감소하고 월세는 증가한 반면 75세 이상은 자가는 늘고 전세 비중은 감소했다. 상대적 빈곤율(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은 76세 이상이 51.4%, 66~75세는가 30.5%로 10년 전과 비교할 때 각각 3.9%P, 13%P가 낮아졌다.

강정미 기자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