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가구 비중 ‘역대 최대’ 70세 이상 가장 많아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본문

2024 통계로 보는 1인가구
1인가구가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5%를 넘어서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특히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며 1인가구 가운데 70세 이상 노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20대 이하 청년층을 처음으로 넘어섰다.
12월 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 통계로 보는 1인가구’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3년 1인가구는 782만 9000가구로 전체 가구의 35.5%를 차지하면서 전체 가구 중 가장 많았다. 이는 2015년 관련 통계가 집계된 이후 역대 최대치다. 1인가구에 이어 2인가구 634만 6000가구(28.8%), 3인가구 419만 5000가구(19.0%), 4인 이상 가구 370만 3000가구(16.8%) 순이었다. 전년 대비 1인가구 비중은 1.0%포인트(P) 상승한 반면 3인가구는 0.2%P, 4인가구는 0.8%P 각각 하락했다.
70세 이상 1인가구 29세 이하보다 높아
연령대별 1인가구는 70세 이상이 19.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29세 이하(18.6%), 60대(17.3%), 30대(17.3%) 순이었다. 2022년까지는 29세 이하가 19.2%로 가장 많았지만 작년부터 70세 이상이 역전했다. 남성 1인가구는 70세 이상이 9.9%를 차지하는 반면 여성의 비중은 28.3%에 달했다.
1인가구로 생활하는 주된 이유는 ‘배우자의 사망’이 31.9%로 가장 많았다. 이어 본인의 학업·직장(22.4%), 혼자 살고 싶어서(14.3%) 순으로 집계됐다. 1인가구로 생활한 기간은 5~10년 미만이 28.3%로 가장 많았고 10~20년 미만(24.0%), 1~3년 미만(16.5%)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10가구 중 4가구(42.7%)는 서울과 경기에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가구의 지역별 비중은 경기가 21.9%로 가장 높고 서울(20.8%), 부산(6.8%), 경남(6.2%) 순이었다.
한편 1인가구의 주택 소유율은 31.3%로 집계됐다. 주택 소유율은 연령대에 비례해 70세 이상이 49.4%로 가장 높았고 60대(43.4%), 50대(37.6%) 순이었다.
1인가구 소득 전체 가구의 절반 못 미쳐
일하는 1인가구는 매년 증가세다. 2023년 10월 기준 취업자 1인가구는 467만 5000가구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12만 가구 증가한 것이다. 연령대별 비중은 50~64세가 26.5%로 가장 많았다. 이어 30대(23.3%), 15~29세(19.4%) 순으로 비중이 높았다.
1인가구의 연간소득은 3223만 원으로 전년보다 7.1% 늘었다. 이는 전체 가구소득(7185만 원)의 44.9% 수준이다. 소득 구간별로 보면 1인가구의 55.6%는 연소득이 3000만 원 미만으로 나타났다. 1000만~3000만 원 미만이 41.5%로 가장 많았고 3000만~5000만 원 미만(26.1%), 1000만 원 미만(14.1%) 순이었다.
2023년 1인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163만 원으로 전체 가구(279만 2000원) 대비 58.4% 수준이었다. 올해 1인가구 자산은 2억 1217만 원으로 전체 가구(5억 4022만 원)의 39.3%로 나타났다. 부채는 4012만 원으로 전체 가구(9128만 원)와 비교하면 44.0% 수준이다.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가구 중 1인가구는 131만 4000가구로 2015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큰 비중을 보였다. 수급 대상 가구 10가구 중 7가구(73.5%)가 1인가구인 셈이다.
“주택 안정 지원 정책 가장 필요”
1인가구가 필요로 하는 정책은 ‘주택 안정 지원’이 37.9%로 가장 높았다. 돌봄서비스 지원(13.9%), 심리·정서적 지원(10.3%)이 뒤를 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60대까지는 주택 안정 지원을 원하는 1인가구가 가장 많았고 70세 이상부터는 돌봄서비스 지원을 가장 필요로 정책으로 꼽았다.
1인가구는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불안 요인을 ‘범죄(17.2%)’로 꼽았다. 경제적 위험(16.9%), 국가 안보(16.5%), 신종 질병(9.2%)이 뒤를 이었다. 2년 전보다 신종 질병은 14.5%P 하락했지만 범죄는 4.4%P 상승했다.
강정미 기자
[자료제공 :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