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4명 “딥페이크 가짜뉴스 판별 못해” > 정책소식 | 정보모아
 
정책소식

국민 10명 중 4명 “딥페이크 가짜뉴스 판별 못해”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tn_textview.gif



국민의 41.9%가 딥페이크로 만들어진 가짜뉴스를 판별하지 못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또한 84.9%가 딥페이크를 활용한 가짜뉴스가 일반적인 가짜뉴스보다 부정적 영향이 더 심각하다고 답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2월 9일 ‘딥페이크 가짜뉴스 대응’을 주제로 11월 8일까지 약 한 달간 국민 5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딥페이크 가짜뉴스를 접해본 응답자는 39%였고 이 가운데 41.9%는 딥페이크 가짜뉴스를 진짜와 가려낼 수 없었다고 밝혔다. 응답자의 94.5%는 가짜뉴스가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하다고 봤고 84.9%는 딥페이크를 활용한 가짜뉴스가 일반적인 가짜뉴스보다 부정적 영향이 더 심각하다고 했다.
딥페이크 가짜뉴스의 악영향으로 가장 우려되는 점으로는 인격적 피해(48.2%)를 가장 많이 꼽았다. 딥페이크 확산 원인으로 법·제도 미비(36.5%)를 지적하고 피해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강력한 입법 및 정책(57.6%)을 요구했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딥페이크 가짜뉴스가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파급효과가 크고 기술 발전에 따라 사실과 구별하기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에 국민들이 공감하고 있다”며 “신속히 법·제도를 정비할 수 있도록 방송통신위원회와 적극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과기정통부는 설문조사 기간 진행한 정책 아이디어 공모전 결과도 발표했다. 공모전에서는 ‘워터마크를 통한 딥페이크 추적 및 탐지’를 제안한 박지우·유성모 씨가 최우수상을 받았다. 우수상에는 이윤주·김지선·명승희 씨의 ‘PGD 기반 워터마킹을 이용한 가짜뉴스 판별’과 김채진·이유진 씨의 ‘인공지능 생성물 워터마크 표준안 마련 및 정착 지원’ 정책제안이, 장려상으로는 한찬혁·윤상훈·이성준 씨 팀, 김수은·전대호·한태원 씨 팀, 강희지 씨의 정책 제안이 각각 선정됐다.
12월에는 ‘비대면 진료의 안정적 시행’을 주제로 집중 공론화도 시작했다. 과기정통부는 비대면 진료가 디지털 기술을 통해 의료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지만 국민 건강과 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하는 대표적 디지털 심화시대 쟁점이라고 봤다.
이에 비대면 진료의 안정적 시행을 주제로 대국민 설문조사와 정책 아이디어 공모전을 12월 한 달 동안 디지털 공론장(beingdigital.kr)에서 진행 중이다. 특히 대국민 설문조사에서는 비대면 진료의 이용경험과 인지 여부, 법·제도 등 정책 개선 방향에 대한 국민 의견을 확인할 예정이다. 정책 아이디어 공모전에는 누구나 법·제도, 교육, 산업, 기술 측면에서 비대면 진료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송 실장은 비대면 진료와 관련해 “그간 과기정통부가 정보통신기술(ICT) 규제샌드박스를 통해 디지털 혁신기기 사용, 의료 마이데이터 등 의료분야의 혁신적 시도를 지원했던 것과 같이 앞으로도 국민들이 필요할 때 안전하게 비대면 진료를 이용할 수 있도록 시민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고 보건복지부와 긴밀하게 협업하겠다”고 말했다.

서경리 기자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