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헬스 수출 6대 강국 도약 1조 원 메가펀드 조성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본문
정부가 바이오헬스 분야에서 글로벌 6대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향후 5년 내에 블록버스터급 신약을 개발하고 의료기기 수출액을 두 배가량 늘리겠다는 목표도 밝혔다. 보건복지부는 2월 28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범부처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회의에서 이와 같은 내용의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을 윤석열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정부는 글로벌 경쟁력이 있는 블록버스터급 신약을 두 개 개발하고 2022년 82억 달러였던 의약품 수출 규모를 2027년에는 160억 달러로 두 배 늘려 제약·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6대 강국을 실현할 계획이다. 기존 발표대로 2030년까지 국가신약개발사업에 2조 2000억 원을 지원하고 유망 신기술과 인공지능(AI) 신약 개발 지원에 투자를 확대한다. 제약업체의 글로벌 진출 지원을 위해 1조 원 규모의 메가펀드를 조성한다. 국내외 제약사 간 기술협력, 우수기술 보유기업 간 구축한 컨소시엄의 약물 공동 개발 지원 등 기업이 외부 조직·관계자와도 협업하며 신제품·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게 지원한다. 제약사의 연구개발 투자 확대를 위해 혁신가치를 보상하는 약가, 인센티브 확대,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제 개선을 추진한다.
AI·디지털로 의료 기술 혁신
2021년 86억 달러 수준이던 의료기기 수출 규모를 2027년 160억 달러로 확대해 세계 5위의 의료기기 수출국가로 도약한다는 계획도 수립했다. 영상진단, 체외진단, 치과 등 주력 수출 분야의 기술 고도화를 지원하고 디지털헬스 등 유망 분야에 전략적으로 투자한다. 의료기기 기업이 창업 초기 연구개발에 성공한 후 자금 부족으로 사업에 실패하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기존 보건계정 모태펀드 등을 활용해 투자를 확대하고 창업 기업에 투자·정책금융 우대를 적용한다.
외국인 환자의 국내 유치를 위해 우수 유치기관 지정을 2022년 27개에서 2023년 50개 이상으로 늘리고 동반 가족 범위를 넓혀 비자 제한을 완화할 방침이다. 의료기기·디지털 헬스케어 등 유관산업 연계 프로젝트는 해외진출 지원 사업 선정 시 우대한다. 성공 가능성이 높은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의료 시스템의 구축·운영도 지원한다.
아울러 정부는 데이터에 기반해 의료·건강·돌봄 서비스를 혁신하는 방안을 내놨다. 1차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내 각종 돌봄 제공자와 맞춤형 의료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게 유도하기로 했다. 여러 기관에 흩어져 있는 개인 건강 정보를 표준화된 형태로 제공하는 기반이 2023년 안에 구축된다. 현재 시범운영 중인 ‘건강정보 고속도로’는 6월부터 본격 시작한다.
의료 현장이 필요로 하는 디지털 기술도 확산된다. 기업·기관에 정부가 바우처(이용권)를 제공하며 AI 전문기업이 제품·서비스를 공급하는 방식인 의료 전용 AI 바우처를 지원하고 공공·지역 의료기관과 의료 취약지역에 의료 AI를 보급한다.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인 암 질환의 임상 정보, 청구·검진, 사망 정보를 연계·결합한 임상데이터 네트워크(K-CURE)를 2025년까지 구축하고 공공기관이 보유한 보건의료 빅데이터(대량자료)를 연계·결합해 연구자 등에게 제공하는 플랫폼을 활성화한다. 100만 명 규모의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해 연구자에게 개방하는 의료 혁신 선도 방안도 추진한다.
첨단·융복합 기술 분야의 연구개발도 강화한다. 의료기기, 병원장비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기술 혁신을 위해 연구개발, 임상, 실증, 상용화 규제 개선까지 디지털 제품·서비스 전 주기를 지원한다. 특히 치매·만성질환·정신질환·정서장애 등을 대상으로 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게임, 가상현실(VR) 디지털 치료기기 개발에 집중한다. 전자약 시장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치매, 희귀·난치·만성질환에 대한 제품 개발, 실증·임상 지원에 2026년까지 466억 5000만 원을 투입한다.
진단·분류·예후 예측 등 분야별로 전문 의료진의 의사결정을 돕는 시스템(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CDSS) 같은 의료 AI 개발에도 박차를 가한다. 단백질 구조 예측과 항체 설계가 가능한 ‘한국형 로제타폴드(가칭)’를 개발해 차세대 항체의약품을 신속하게 만들 수 있도록 하고 신약개발 플랫폼을 고도화·개발해 개발 기간 단축과 비용 절감을 실현한다.
정부는 현장 맞춤형 인재, 핵심 연구 인재 등 11만 명을 양성하고 창업 지원 강화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바이오헬스 마이스터대를 도입하고 바이오헬스 계약학과를 다섯 개에서 여덟 개로 늘리기로 했다. 또 ‘K-바이오 랩허브’를 인천 송도에 구축하고 단백질의약품·항체·백신·세포·조직치료제 등 8대 신약개발 창업 기업에 2031년까지 9년 동안 총 2726억 원을 지원한다.
‘디지털·바이오헬스 혁신위원회’ 구축
바이오헬스의 디지털 전환을 추진할 범정부 거버넌스(민관·협력) ‘디지털·바이오헬스 혁신위원회’를 구축한다. 디지털 헬스케어 규제 개선, 관련 기업 지원 등을 내용으로 하는 디지털헬스케어법도 제정한다. 바이오헬스 수출 활성화를 위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지정을 추진하고 소부장 으뜸기업을 2030년까지 200개로 확대 육성한다. 역대 최대 규모인 무역금융을 활용해 바이오기업의 수출자금을 지원하고 무역보험료 20% 할인, 한도 우대 등의 지원도 펼친다.
선수현 기자
[자료제공 :(www.korea.kr)]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