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같은 상상력으로 낭만을 그리다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본문
작가 탁용준 ‘가을에’
탁용준 작가를 만난 사람들은 그가 잘 웃는다는 것을 발견한다. 그의 얼굴은 ‘웃음’ 그 자체다. 그리고 그는 말도 많다. 흔히 장애인은 무뚝뚝하다고 생각하지만 그는 전신마비로 호흡이 짧아서 숨을 새근거리면서도 말을 이어간다. 그리고 그는 부지런하다. 그는 정말 열심히 그림을 그린다. 탁용준에게 있는 이 세 가지가 그를 사랑받는 화가로 만들었다.
탁 작가는 29세까지 아주 건장한 청년이었다. 키가 큰 호남형에 말을 재미있게 하며 미래가 촉망되는 젊은이였다. 그를 화가로 만든 것은 29세 여름 수영장에 놀러 가서 물속으로 다이빙하는 순간 머리가 바닥에 부딪치며 경추가 손상된 그때부터라고 할 수 있다.
그는 당시 결혼한 지 9개월밖에 안 된 신혼이었고 예비아빠였다. 그를 덮친 전신마비는 그의 행복을 집어삼킨 듯 보였지만 그는 마비에서 살짝 벗어난 어깨 근육을 이용해 그림을 그리고 있다. 붓을 잡은 듯이 보이지만 보조 기구에 붓을 끼운 것이다.
그는 미술을 전공하지 않았다. 그저 어린 시절 뛰어놀던 곳을 떠올리며 자연을 그리고 성악가 아내 덕분에 음악을 소재로 그림을 그린다.
수영장에서 다이빙하다 전신마비가 됐다고 하면 사람들은 미쳤다고 한다. 바다도 아니고 무슨 다이빙이냐고…. 하지만 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데 전신마비 장애인 한 명이 탁 작가와 같은 병실에 입원했다. 그도 다이빙을 하다가 목뼈를 다쳐 전신마비 장애를 갖게 된 경우였다. 그는 이미 구필화가라는 자기 일을 갖고 있었다. 그는 탁 작가에게 많은 얘기를 해주었는데 가장 큰 울림을 준 것은 바로 이 말이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거의 없어요. 그림을 그리면 행복하죠.”
탁 작가는 학창 시절 그림을 무척 좋아해 미술 활동을 많이 했고 청소년기에는 만화를 그리며 시간을 보내곤 했다. 하지만 그림을 그릴 생각을 구체적으로 하지는 못했다. 그런데 그가 병원에서 퇴원하고 집에 돌아가자 이미 방 한가득 그림 도구들이 배치돼 있었다. 가족들은 그가 하루라도 빨리 새로운 일을 하며 새 인생을 살아가길 바라고 있었다.
탁 작가는 혼자 생각했다. 그의 사고 후 6개월 만에 태어난 아들이 철들었을 때 아빠가 아무것도 안 하고 침대에 누워 하루 종일 텔레비전이나 보고 있으면 아들에게 아빠는 무의미한 존재가 될 것 같았다. 아들에게 뭔가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다. 그래서 그는 바로 붓을 잡았다. 탁 작가는 그림을 시작하며 만나는 사람에게 다짐하듯 말했다.
“나 10년 후 개인전 열 거야. 10년 후다.”
그렇게 선언해야 포기하지 않을 것 같았기 때문이다. 그는 마침내 그 약속을 지켰다. 무엇을 바라고 그림을 그린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자신의 그림에 대한 평가를 받고 싶어 1999년부터 여러 미술대전에 꾸준히 응모를 했다. 그 결과 2004년 대한민국기독교미술대전에서 우수상을 받아 정식으로 데뷔했다. 탁 작가는 그림을 시작한 지 25년이 넘었다. 활동은 왕성했지만 그림으로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미술시장이 형성돼 있지 않아 전시회에 온 관람객도 지인들이 대부분이고 작품도 연고로 구입한다. 그런 어려움 속에서도 붓을 놓지 않는 것은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해서다.
동화적 상상력이 담긴 작품들
탁 작가는 처음에는 입에 붓을 물고 그림을 그리다가 어깨 근육의 힘을 이용해 손에 붓을 묶고 팔을 쓰기 시작한 것은 바로 작업 반경을 넓히고 싶어서였다. 그동안 그린 그림이 1700점이 넘는데 그 숫자가 탁 작가가 얼마나 열심히 그림을 그리는 화가인지를 잘 말해준다.
주위 사람들은 탁 작가가 아주 행복한 남자라고 말한다. 아름다운 아내, 든든한 아들, 그를 항상 지지하는 지인들 그리고 무엇보다 행복을 나눌 수 있는 그림이 있기 때문이다. 아내는 남편이 다치자마자 운전부터 배웠다. 남편의 이동을 자신이 책임지기 위해서였다.
활동보조서비스제도가 생기면서 아내는 남편 때문에 접어야 했던 성악가의 꿈을 새롭게 키우며 소프라노로 각종 자선 무대에 서고 있다. 아들은 미국에서 피지컬 테라피를 전공하고 재활치료사로 병원에 근무하고 있다. 가장이 장애를 갖게 되면 가족이 불행해진다는 사회적 통념을 깨고 가족 모두 행복해졌다.
그는 앞으로 우리나라를 넘어 해외에 자신의 작품을 소개해 장애가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라는 메시지를 전하고 싶은 꿈을 갖고 있다. 또한 병원에서 절망과 싸우고 있는 많은 환우에게 그런 희망을 전하고 싶은 낭만 작가다.
‘가을에’를 비롯해 탁 작가의 작품에는 동화적인 상상력이 담겨 있다. 작품 전체는 주황색 톤이다. 하늘도 땅도 전부 늦가을 단풍으로 물들었다. 노을로 붉게 물든 하늘에는 해가 떠 있는데 달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하얀 새 네 마리가 유유히 날아가는데 앞장선 새 두 마리는 나란히 가는 것으로 보아 부부인 듯하고 아기 새들이 뒤따르고 있다. 땅에는 갈대밭이 이어지고 한쪽에 늘어선 나무들이 모자이크 모양으로 형성돼 세련된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런 정경은 평화로워서 안정감을 준다. 우리의 가을도 이렇게 아름다울 수 있을까?
방귀희 한국장애예술인협회 대표
[자료제공 :(www.korea.kr)]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