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자살·난임 등 사회문제 해결형 R&D에 집중 투자 > 정책소식 | 정보모아
 
정책소식

마약·자살·난임 등 사회문제 해결형 R&D에 집중 투자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tn_textview.gif



정부가 올해 보건의료기술 연구개발(R&D)에 2조 2097억 원을 투자하고 생명연구자원 관리·활용에는 2025억 원, 감염병 대응 기술개발에는 2667억 원을 투자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6월 11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바이오특별위원회 제16회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바이오특별위원회는 2016년 출범한 바이오 분야 R&D 컨트롤타워로 범부처 바이오 R&D 정책을 총괄·조정하고 있다.
이번 회의에선 ▲제3차 국가 생명연구자원 관리·활용 기본계획 2024년도 시행계획 ▲제3차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개발 추진전략 2024년도 시행계획 ▲제3차 보건의료기술육성 기본계획 2024년도 시행계획 등 총 세 개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생명자원 연구에 2025억 원 투입
지난해 생명자원 연구분야에 11개 부처가 총 1830억 원을 투자했다. ‘생명연구자원법’을 개정해 ‘생명연구데이터’의 정의를 신설하는 등 생명연구자원을 관리·활용하는 데 필요한 법과 제도도 정비했다. 바이어 소재 클러스터별 전문 포털을 연계해 바이오 소재 통합플랫폼(바이오원·BioOne)을 구축해 시범 운영하기도 했다.
정부는 2024년 생명자원 연구에 2023년보다 10.7% 늘어난 2025억 원을 투입한다. 구체적으로는 소재 분야에 1196억 원, 데이터 분야에 829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바이오 연구데이터 활용 기반을 본격적으로 조성하기 위해 ‘생명연구자원법’ 개정에 따른 시행령 개정 및 시행규칙을 제정하고 환경부의 데이터센터를 국가 바이오데이터스테이션(K-BDS)과 연계해 바이오 연구데이터의 활용기반을 강화한다.
정밀의료 산업혁신을 위해 임상·유전체 등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데이터뱅크를 설립하기로 했다. 2023년 시범운영한 바이오원을 정식 운영하고 야생동물 등 클러스터 전문 포털을 구축해 소재 정보의 접근성을 개선하고 바이오 소재 활용을 촉진할 방침이다.
생명연구자원 분야는 민간과 기관이 지속적으로 협력기반을 조성할 수 있도록 산업계와 소통을 강화하고 현장수요 맞춤형 전문인력을 지속적으로 양성하기로 했다.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분야는 8개 부처에 3724억 원의 예산을 편성해 시행계획을 이행했다. 감염병기술표준분류체계를 마련하고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내 감염병 R&D 현황판을 신설하는 등 감염병 R&D에 대한 책임기반을 강화했다.
올해는 국가 감염병 R&D에 약 2667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코로나19 관련 사업이 종료됨에 따라 감염병 관련 R&D 투자는 전년 대비 감소했지만 우선순위 신·변종 감염병을 중심으로 ‘백신·치료제 100일·200일 R&D’ 로드맵을 추진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감염병 연구기관 협의체 중심의 위기대응 매뉴얼 및 관련 신규 사업을 기획한다. 감염병 임상연구센터, 백신안전기술지원센터 등 연구기반을 확충하고 감염병 전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국가 전임상시험지원체계를 운영해 임상 예측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국제협력도 강화한다. 선진 연구기관 및 아시아·아프리카 중심 해외연구거점을 구축하고 세계무역기구(WHO) 협력센터 등과 함께 국제 네트워크 활동을 이어갈 방침이다.
정부는 2023년 보건의료기술 R&D에 2조 1379억 원을 편성했다. 이를 바탕으로 4000억 원 넘는 기술이전 3건을 포함해 약 3조 3830억 원 규모(9건)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으며 디지털 치료기기 국내외 인증 획득, 치매치료제 임상 1상·1a/1b상 승인 등의 성과를 올렸다.
올해 시행계획에는 주요 R&D에 전년 대비 3.7% 증가한 2조 2097억 원을 투입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특히 제3차 보건의료기술육성 기본계획의 ▲국민생명·건강보호(3764억 원) ▲보건안보 확립(3488억 원) ▲바이오헬스 신산업 육성(1조 1213억 원) ▲R&D 혁신 생태계 조성(3631억 원) 등 4대 전력분야별로 혁신·도전형, 글로벌 협력 등 독창성과 수월성을 기준으로 투자하기로 했다.
마약과 자살 등 정신건강문제 해결과 노인·장애인 대상 복지기술·난임 치료기술 등 사회문제 해결형 R&D에 적극적으로 투자한다. 또한 한국형 ARPA-H 프로젝트 등을 추진해 팬데믹, 미정복 질환 등 미래 위협이 될 수 있는 국가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전·혁신적 R&D체계를 보건의료분야에 도입할 계획이다. 세계 최초·최고를 지향하는 글로벌 공동연구 확대 및 바이오 선도국과의 연구 협력 네트워크도 구축한다.

장가현 기자



*국가 바이오데이터스테이션(K-BDS)
정부가 범부처와 협력해 국가 차원으로 국내 바이오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확보·관리하고 연구자들에게 활용하도록 만든 바이오데이터 공유 허브. K-BDS는 ▲국가 연구개발(R&D)로 생산된 바이오 연구 데이터의 지속가능한 통합 수집·제공 ▲다량의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저장·관리할 수 있는 전산 환경 구축 ·수집된 바이오 연구데이터의 통합 분석·활용 환경 제공 ▲빅데이터 분석 기술개발 및 전문 공공·민간기관 육성 등의 역할을 맡고 있다.

*바이오 소재 통합플랫폼(BioOne)
미생물, 천연물, 배양세포 등 바이오 소재 관련 정보 검색과 분양 신청이 가능한 바이오 소재 클러스터별 전문 포털을 연계한 플랫폼.

*한국형 ARPA-H 프로젝트
보건복지부가 미국의 보건의료 연구개발(R&D) 혁신 기구인 ARPA-H 모델을 참고해 한국의 보건의료 난제 해결을 위해 만든 대형 프로젝트. 전염병, 미정복 질환 등 미래 위협이 될 수 있는 국가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