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호산업’ 강국 도약…2027년까지 세계 5위권 진입 목표 > free | 정보모아
 
부동산소식

‘정보보호산업’ 강국 도약…2027년까지 세계 5위권 진입 목표

작성자 정보

  • 부동산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tn_textview.gif

정부가 오는 2027년까지 정보보호산업의 세계 5위권 진입을 목표로 ‘글로벌 정보보호산업’ 강국 도약에 박차를 가한다. 

이에 시장규모 30조원 달성을 목표로 관련 예산에 총 1조 1000억 원을 투입하고, 총 1300억 원 규모의 ‘사이버보안 펀드’를 조성해 보안 유니콘 기업을 본격 육성하기로 했다. 

또한 통신·금융·의료 등 주요 기반 분야에 보안 패러다임 전환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혁신 통합보안 모델 개발을 위해 ‘K-시큐리티 얼라이언스’를 구성해 글로벌 수출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일 열린 제30차 비상경제차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정보보호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전략’을 발표, 우리 정보보호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튼튼한 사이버 안보’를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홍진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네트워크 정책실장이 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정보보호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최근 글로벌 보안시장은 사이버위협 증가와 디지털화로 인한 보안영역의 확장은 물론 각국의 보안규제 강화로 시장이 성장하고 있으며, 2026년까지 연평균 8.5% 지속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제로트러스트·통합보안 등 보안 패러다임 전환을 계기로 고성장 중인 글로벌 사이버 보안시장을 선점하려는 선도 기업들의 치열한 주도권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또한 “사이버 안보 역량 강화가 국가 안보의 핵심”이라고 수차례 강조했고, 최근 미국과 일본을 비롯해 중동과 동남아 등 활발한 순방을 통해 사이버 분야 협력 행보를 확대하고 있는 상황도 이와 맥락을 같이한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튼튼한 사이버 안보’를 실현하기 위해 글로벌 시장경쟁에서 뒤처지지 않는 정보보호 산업을 육성하고, 사이버 보안 패러다임 전환을 선점할 새롭고 발 빠른 대책을 추진하고자 이번 전략을 마련했다. 

비전 및 목표 (자세한 내용은 본문에 설명 있음)비전 및 목표

◆ 보안패러다임 전환 주도권 확보 및 신시장 창출

보안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새로운 보안체계 적용과 스마트공장, 스마트헬스케어, 로봇, 우주·항공 등 미래산업의 보안 내재화를 통해 보안 신시장을 창출한다. 

아울러 융합보안 및 물리보안 산업을 집중 육성해 글로벌 보안시장 진출 확대를 추진한다.

이에 기존 경계보안의 한계를 해소하기 위한 ‘제로트러스트 전환 로드맵’을 수립하고, 통신·금융·의료 등 기반 분야를 중심으로 기존 경계모델을 제로트러스트 보안 모델로 적용·확산하는 시범사업 추진 등을 통해 보안패러다임 전환을 강화해 나간다.

또한 SW 공급망 공격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해외 무역장벽에 대비하기 위한 ‘SBOM 기반 SW 공급망보안 기술지원 체계’를 구축하며 보안SW 및 의료SW 등 파급력이 높은 분야를 대상으로 공급망 보안관리를 지원한다.

유기적 협력·선제적 보안 내재화로 미래형 융합보안 시장을 개척하기 위한 작업도 본격 추진한다.

주요 신산업별 보안요구사항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유관부처·기관 ‘융합보안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기존 보안리빙랩을 핵심분야로 특화 개편하며 이를 기반으로 보안인증 내재화 프로세스를 마련한다.

스마트헬스 분야 융합보안 내재화 프로세스 사례(예시) (자세한 내용은 본문에 설명 있음)스마트헬스 분야 융합보안 내재화 프로세스 사례(예시)

국산 신기술 적용·확산을 통해 물리보안을 차세대 성장산업으로 육성한다.

이를 위해 정부 R&D로 국산화된 핵심부품인 CCTV 반도체칩의 보급을 10개사에서 40개사로 확산하고, 2세대 반도체 칩을 조속히 양산해 국산 제품의 세계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지문·안면 중심 생체인식 성능평가 분야를 정맥 및 홍채 등으로 확대하고, AI 등 신기술을 활용해 관련 데이터를 60만 건 이상 대량 구축해 생체인식 물리보안 시장 확대를 견인한다. 

특히 국내 보안기술을 집약시킨 ‘한국형 무인점포’를 구현하고 실증을 통해 상용화를 추진하는 한편, 개발된 우수 무인기술·제품을 소상공인 무인점포에 지원해 범죄 등 사회문제 해결과 무인보안 시장 확대를 도모한다.

◆ 협업 기반 조성을 통한 신흥시장 진출 강화

기업 간 협력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통합보안 모델을 구현하고 신흥시장을 전략적으로 공략해 글로벌 시장 내 우리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추진한다.

먼저 혁신 통합솔루션·서비스 개발을 위한 ‘민간주도형 전략적 협업 추진연대 K-시큐리티 얼라이언스’를 구성한다. 

이를 통해 공동·협업형 통합보안 사업화모델, 표준화 및 상호운용성 확보 등을 민간이 주도할 수 있도록 적극 유도하되 정부는 기업 애로해소와 판로·투자·해외진출을 전폭적으로 지원한다.

K-시큐리티 얼라이언스 추진체계 (자세한 내용은 본문에 설명 있음)K-시큐리티 얼라이언스 추진체계

내년부터는 현장수요를 기반으로 우수 통합보안 모델을 공모를 통해 선정해 협업 활성화의 마중물로 활용할 계획이다. 

협업성과공유회, 성과사례집 및 협업가이드 발간, 우수 상호운용성 표준제정 등을 통해 글로벌 트렌드인 ‘Stronger Together’ 조성을 적극 유도한다. 

국제협력 기반의 신흥 보안시장 진출 관련 사업을 확대 추진하고자 중동·동남아 등 신흥시장 공략을 위해 중동 거점을 사우디로 재편하고, 베트남 거점(하노이) 신설을 추진한다.

중동·동남아 기금·공공조달 사업 프로젝트 수주를 위한 민·관 협력형 시큐리티 팀 코리아의 구성·지원을 통해 공공부문의 주도로 대형 해외사업 수주 가능성을 극대화하고, 수주 후 국내 사업자 참여를 통해 기업의 간접 수출 효과를 제고한다.

◆ 글로벌 공략을 위한 단단한 산업 생태계 확충

우리 기업의 글로벌 시장진출 가속화를 위해 시설확충, 펀드조성, 인재양성 등 지속성장 환경 조성에 집중 투자한다. 

이에 보안 스타트업 육성(판교), 지역 보안산업 강화(부울경), 글로벌 시큐리티 클러스터(송파)로 구성된 K-시큐리티 클러스터 벨트를 조성해 우리 기업의 해외진출 가속화를 위한 전진기지로 육성한다.

K-시큐리티 클러스터 벨트 (자세한 내용은 본문에 설명 있음) K-시큐리티 클러스터 벨트

사이버보안 펀드를 조성해 민간투자의 마중물로 활용하는데, 기업의 안정적 기술개발 및 민간투자 활성화를 위해 2027년까지 민관합동으로 1300억 원 규모를 조성한다. 

아울러 제로트러스트 및 AI 등 유망 분야 스타트업 지원 및 기업 간 M&A를 통한 스케일업 지원에 펀드 결성액의 50% 이상 투자를 유도할 계획이다.

◆ 차세대 정보보호 기술 경쟁력 확보

미래 산업 성장에 필수적인 전략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선도국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기술력 확보에 주력한다.

미래 대응에 필요한 사이버보안 중점기술 확보를 위해 미래 도전, 기술·산업 선도, 안보투자 등 주요 R&D 영역을 도출하고 영역별 선택과 집중의 전략적 투자를 추진해 성과를 극대화한다.

또한 미국·독일·핀란드 등 사이버보안 분야 강점을 지닌 선도국과 공동연구를 통해 글로벌 수준의 기술 확보를 추진한다. 

동남아·중동 등 주요 신흥시장을 전략적으로 공략하기 위한 신흥국 지원 연구도 신규 추진할 계획이다. 

차세대 정보보호 기술 R&D 추진방향 (자세한 내용은 본문에 설명 있음)차세대 정보보호 기술 R&D 추진방향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최근 글로벌 보안시장은 새로운 보안 패러다임 선점 경쟁이 가속화하는 가운데, 통합보안이라는 흐름에 뒤처지지 않기 위한 기업 간 협업과 공조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등 격변의 시기”라고 강조했다. 

이어 “새로운 보안 패러다임 변화를 발 빠르게 준비하고, 신흥시장을 공략할 탄탄한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일은 단 하루도 늦출 수 없는 시급한 과제”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전략을 통해 우리 정보보호 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시장 주도권을 확장해 우리의 힘으로 사이버 안보를 튼튼히 할 수 있도록 정부의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문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 정보보호산업과(044-202-6451), 정보보호기획과(044-202-6448)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