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초청한 ‘G7정상회의’의 유래는 > 부동산소식 | 정보모아
 
부동산소식

윤석열 대통령 초청한 ‘G7정상회의’의 유래는

작성자 정보

  • 부동산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tn_textview.gif

1970년대 세계경제는 1971년 브레턴우즈 체제 붕괴, 1973년 1차 석유파동으로 통화가치 팽창, 스태그플레이션, 보호무역주의 대두 등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게 됐다.

이처럼 세계경제 위기가 고조되자 미국을 비롯한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등은 새로운 경제질서의 수립 방안을 모색하기 시작했는데, 이 과정은 훗날 주요 7개국 모임 ‘G7(Group of 7)’ 출범의 계기가 됐다.

미국 재무장관은 1973년 영국과 프랑스, 독일 재무장관과 함께 ‘라이브러리 그룹’을 결성해 세계금융 이슈에 대한 논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1975년에는 일본도 참여하게 되면서 G5 재무장관 체제가 형성됐다.

G5 재무장관회의는 이후 정상회담급으로 격상됐다. 1975년 프랑스 랑부이예에서 열린 회의에 이탈리아가 참여하게 됨에 따라 최초의 G6 정상회의가 개최됐다.

이때 G6 회원국의 자격요건으로는 ▲자유민주주의 ▲안정적이며 높은 경제발전도(1인당 GDP 최소 1만 1000달러) ▲세계 경제운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규모(세계 총 GDP의 4%) 등이 기준이었다.

캐나다는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약 2.3%)이 상대적으로 작아 참여가 이뤄지지 못했다. 하지만 1976년 세계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미국 등 주요 선진국이 모여 개최한 산후안 회의 때 미국의 희망으로 캐나다 참여가 이뤄지면서 G7 정상회의로 확대됐다.

냉전이 종식된 이후 구소련도 G7에 참여를 희망했고 미국은 1992년 뮌헨정상회의를 러시아가 참여하는 G8 정상회의로 제안했다.

러시아는 초청국지위로서 G7 정상회의에 참여해오다 1998년 버밍엄 회의에서 정식회원이 됨으로써 G8 체제가 완성됐다. 하지만 G7 국가들은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제재 조치의 일환으로 러시아의 G8 국가로서의 자격을 정지했다.

지난해 6월 26~28일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가 열린 독일 남부 바이에른주 알프스의 엘마우성 전경. (사진=저작권자(c)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신화/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G7은 별도 사무국이 없으며 정상회의 개최국이 의장국으로서 회의를 준비한다. 의장국이 정상회의 및 각료회의를 주도해 G7의 관심사항을 협의한다.

G7은 정상회의가 개최되기 이전에 분야별 각료급 회의를 개최해 정상회의 준비에 들어간다.

한국은 2008년 처음으로 G8 환경장관회의, 개발장관회의, 에너지 장관회의, 재무장관회의, 과학기술장관회의, 글렌이글스 대화체(기후변화·청정에너지·지속가능개발 대화)에 초청 받았다.

또 2009년 이탈리아 라퀼라 G8 확대 정상회의에도 참가했으며, 2021년 영국 콘월 G7 회의에는 초청국으로서 분야별 각료급회의에 모두 참여했다.

주요 7개국 정상 간 대화협의체인 G7 정상회의는 국제정치·경제 사안에 대한 자유로운 토론의 장 성격을 갖는다. 이를 통해 세계 경제가 나아갈 방향과 국가 간 경제정책에 대한 협조·조정에 관한 문제를 논의한다.

G7 국가 간 매년 번갈아 개최되며 의장국 순번은 영국(2021), 독일, 일본, 이탈리아, 캐나다, 프랑스, 미국 순이다.

올해는 일본 히로시마에서 G7 정상회의가 열린다. 한국은 올해 의장국인 일본의 초청으로 G7 정상회의에 참석한다. 이에 앞서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1일부터 13일 일본 니기타에서 열리는 G7 재무장관회의에 참석해 세계적 위기 대응 논의에 동참할 예정이다.

11~13일 일본 니기타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회의에 앞서 경찰관들이 니기타역 주변을 순찰하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AP Photo/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