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취업자 19만 3000명↑…10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
작성자 정보
- 부동산 작성
- 작성일
본문

지난 10월 취업자 수가 전년 같은 기간보다 19만 3000명 늘어나 10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는 10월 취업자는 2904만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884만 7000명보다 19만 3000명(0.7%) 증가했다고 12일 밝혔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3.4%로 전년대비 0.1%p, 15~64세 고용률은 70.1%로 0.3%p 상승했고 경제활동참가율은 64.8%로 0.1%p 상승했다.
15세 이상 경활률·고용률과 15~64세 고용률은 10월 기준 역대 1위를 기록했으며, 1~10월 경활률(64.7%)·고용률(63.0%)·15~64세 고용률(69.8%)도 같은 기간 기준 역대 1위다.
실업자는 65만 8000명으로 1년 전보다 2만 명(2.9%) 감소했으며, 실업률은 2.2%로 0.1%p 하락했다.
업종별로는 양호한 소비심리에 따른 내수 개선세가 이어지며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가 28만 명(9.2%)으로 큰 폭 증가했고, 도소매업 4만 6000명, 금융·보험업 3만 4000명, 숙박음식업 2만 2000명, 예술·스포츠·여가업 7만 명 등 서비스업의 증가세가 이어졌다.
다만, 교육서비스는 1만 2000명으로 증가폭이 줄고, 전문·과학·기술 서비스업은 2000명 감소해 서비스업 증가폭은 58만 8000명에서 48만 1000명으로 축소됐다.
반면 건설업은 강수 등 기상요인, 긴 명절연휴에 따른 조업 영향 등으로 12만 3000명 줄었고, 제조업은 5만 1000명 줄었지만 내수·수출 개선 등으로 감소폭은 축소됐다.
지위별로는 상용직이 28만 6000명, 임시직이 7만 9000명이 증가했으나, 일용직은 5만 5000명 감소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취업자 증가는 60세 이상이 견인했지만, 청년층은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다.
60세 이상은 33만 4000명, 30대는 8만 명 증가했으나, 20대는 15만 3000명, 40대는 3만 8000명, 50대는 1만 9000명 감소했다.
청년층 고용률은 44.6%로 1.0%p 하락했으나 쉬었음 인구는 40만 9000명으로 9000명 줄며 6개월 연속 전년대비 감소세를 이어갔다.
정부는 성장과 고용의 선순환 지속을 위해 내수 활성화·취약부문 보완에 힘을 모으고 AI 대전환·초혁신경제 등으로 일자리 창출과 청년 고용 촉진을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아울러, 소비회복 모멘텀이 고용으로 지속 확산할 수 있도록 정책노력을 강화하고, 대미 관세 협상 후속조치 등 통상 리스크 완화에도 총력을 다하기로 했다.
문의 : 기획재정부 경제구조개혁국 인력정책과(044-215-8532), 고용노동부 고용정책실 미래고용분석과(044-202-7256)
[자료제공 :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