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까지 '글로벌 AI 유니콘' 5개 육성…스타트업 자금지원 확대
작성자 정보
- 부동산 작성
- 작성일
본문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의 AI활용률을 2027년까지 50%로 높이고 글로벌 AI 유니콘을 5개 육성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제조 AI전문기업 100개를 지정해 기업당 최대 100억 원 규모의 자금과 인력, 판로 확대 등을 집중 지원하고, AI 스타트업 지원을 강화해 5조 7000억 원을 AI·반도체 등 혁신성장 분야에 집중 지원한다.
중기부는 20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주재한 제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에서 'AI 스타트업 육성을 통한 AI 활용확산 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미국, EU, 프랑스 등 주요 선진국은 수백조 원 규모의 AI 분야 대규모 민간투자 유치를 발표했고,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SW·알고리즘 혁신을 통해 미국 빅테크 수준의 AI모델을 개발해 시장에 충격을 주고 있다.
중기부도 이러한 글로벌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AI스타트업을 육성하고 중소기업 현장에 인공지능 활용을 확산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했다.
중기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AI 서비스·솔루션을 개발·제공하는 AI스타트업을 집중 육성해 서비스와 활용 측면에서 세계 최고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중소기업 AI활용률을 지난해 28%에서 2027년 50%로 높이고 글로벌 AI 유니콘을 5개 육성한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중기부는 먼저, 분야별 AI 스타트업 역량 강화를 지원한다.
기업 간 협력 방식의 AI모델 개발을 지원해 제조, 금융 등 분야별 AI서비스 공급 스타트업을 육성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확산한다.
아울러, 데이터를 생성하고 합성할 수 있는 '데이터 생성 LAB' 구축을 추진하고, 제조 AI전문기업 100개를 지정해 기업당 최대 100억 원 규모의 융자·보증 등 자금과 인력, 판로 확대 등을 집중 지원한다.
중기부는 이어서, 개방형 혁신을 통해 스타트업이 개발한 AI서비스의 수요시장 창출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민관협력 이노베이션 사업 등을 활용해 대기업과 스타트업이 협업해 특정 산업 문제해결에 특화된 분야별 AI서비스를 개발하고, 산업부의 산업·업종별 자율제조 선도 프로젝트의 성공사례를 스마트공장 구축사업을 통해 확산할 계획이다.
아울러, 중소기업 경영진과 재직자 등이 AI활용에 대한 필요성과 이해도를 제고할 수 있도록 교육·컨설팅을 지원한다.

중기부는 또한, AI 스타트업 지원을 강화한다.
올해 융자, 보증 등 중소기업 신규 유동성 공급총량의 60%인 5조 7000억 원을 AI·반도체 등 혁신성장 분야에 집중 지원하고, 2027년까지 정부, 민간 자금 등 3조 원 규모의 AI 펀드를 조성·운용해 AI스타트업에 대한 자금지원을 대폭 확대한다.
이와 함께, 중소기업 R&D 신규 예산(3301억 원)의 50% 이상을 AI 등 전략기술 분야에 투자·공급하고, R&D자금과 민간투자를 합해 최대 100억 원까지 지원하는 고위험·고성과 R&D 사업에서 AI분야 도전적 과제를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더불어, AI 관련 해외기관(MIT 등)과의 공동연구를 지원하고 해외진출을 지원할 수 있도록 AI 전문 액셀러레이터 제도도 도입한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AI 기술이 TV, 세탁기, 시계와 같은 일상제품에까지 적용하는 시대가 왔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중기부와 스타트업, 중소기업 모두가 위기의식을 갖고 대비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딥시크가 준 충격을 새로운 도약의 기회로 삼아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이 잘할 수 있는 특화 AI 서비스 분야에 집중하여 AI 국가대표 스타트업을 육성하고, AI 기술과 시장 선점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정책실 미래기술대응지원단(044-204-7242)
[자료제공 :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