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근무시간 72시간으로 단축…수련수당 확대 등 국가지원 강화
작성자 정보
- 부동산 작성
- 작성일
본문
보건복지부는 생계급여 등 74개 복지사업 선정기준이 되는 기준중위소득을 역대 최대 수준인 6.42%로 인상하고, 전공의 근무시간을 80시간에서 72시간으로 단축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또한, 살던 곳에서 편안한 노후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의료-요양-돌봄서비스가 통합적으로 연계·제공되는 통합돌봄 지원체계를 마련하고, 지속가능성·세대형평·소득보장 강화를 위한 상생의 연금개혁을 추진한다.
복지부는 10일 두텁고 촘촘한 약자복지, 국민이 체감하는 의료개혁, 수요자 맞춤형 돌봄안전망, 초고령사회 본격 대응을 주요 과제로 내세운 2025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올해는 '국민이 행복하고 건강한 복지국가'를 비전으로 네 가지 핵심 과제를 적극 추진한다.
◆ 두텁고 촘촘한 약자복지
복지부는 먼저, 취약계층의 두터운 보호를 위해 생계급여 등 74개 복지사업 선정기준이 되는 기준중위소득을 역대 최대수준인 6.42%로 인상해 복지 문턱을 낮춘다.
생계급여를 월 11만 8000만 원 인상(4인 가구)하고, 의료급여 수급자 소득산정 때 포함하는 부양비 부과비율도 16년 만에 10%로 완화하는 등 취약계층 생계·의료비지원을 강화한다.
취약계층별 맞춤형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노인일자리를 110만 개 제공하고, 기초연금과 장애인연금(기초급여)도 2.3% 인상한다.
아동의 권익을 강화하기 위해 민간 입양기관 중심의 국내외 입양절차를 국가 중심으로 개편한다.
보호출산 신생아가 최종 보호기관 확정 전까지 안전한 돌봄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3개월 동안 월 100만 원 지원하는 긴급보호비도 신설한다.
복지부는 이어서, 촘촘한 위기가구 발굴을 위해 47종 위기정보의 중요도·활용도 차이를 고려한 고도화된 의심가구 선정기준을 마련해 위기가구 발굴의 정확도를 높인다.
동시 상담채널을 확대하는 등 AI 초기상담을 본격 제공하고, 독거노인·장애인 응급안전서비스도 확대한다.
모바일 행복이음 활용지역도 전국으로 넓혀 현장조사 단계에서 즉시 상담 및 급여 신청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복지부는 또한, 근로를 통한 취약계층 자립을 지원하기 위해 자활근로 참여자가 생계급여 탈수급하는 경우 연 최대 150만 원을 지원하는 자활성공지원금을 신설한다.
촘촘한 사례관리 제공을 위해 자활사례관리사를 2배로 확충해 전국 250개 모든 지역자활센터에 배치한다.
기회 사다리 제공을 위한 자산형성지원도 강화한다.
취약아동의 초기 사회진출 지원을 위한 디딤씨앗통장 가입대상을 차상위계층까지 27만 3000명으로 확대하고, 소득기준 완화 등을 통해 청년내일저축계좌 신규 가입자 4만 명을 추가 모집한다.
차상위계층의 장기근속 유도를 위해 희망저축계좌Ⅱ의 정부지원금도 올해 월 10만 원, 2026년 월 20만 원, 2027년 월 30만 원 등 가입 연차별로 차등 인상한다.
◆ 국민이 체감하는 의료개혁
복지부는 먼저, 생명을 살리는 의료개혁 가시적 성과 창출을 위해 중증·응급환자 진료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 연휴 대비 응급의료체계 유지 특별대책을 마련하는 등 비상·응급의료체계 유지에 역량을 집중한다.
의료체계 정상화 및 의정갈등 해소를 위한 의료계 대화·설득 노력도 이어가고, 의료인력 수급 추계과정 및 결과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 제고를 위해 직종별 인력수급 추계기구를 구성·운영한다.
수련수당 확대 등 전공의 수련에 대한 국가지원을 대폭 확대하고, 근무시간을 80시간에서 72시간으로 단축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하는 등 전공의 근무여건 개선도 본격화한다.
환자 대변인 제도를 신설하는 등 의료사고 분쟁조정제도를 혁신해 환자의 권리구제를 강화하고, 의료사고심의위 신설 등 수사절차 개선 및 필수의료 중과실 중심 기소체계 전환 등 의료사고 특화 형사체계 구축도 추진한다.
복지부는 이어서, 역량 있고 신뢰받는 지역·필수의료 제공을 위해 지역완결 의료전달체계를 확립한다.
전 상급종합병원(47곳)이 중증·응급·희귀질환 진료에 집중할 수 있도록 구조전환을 본격화하고, 포괄성·진료역량을 갖춘 지역종합병원을 집중 지원하며, 화상·뇌혈관 등 필수진료 분야 중심으로 전문병원도 재편한다.
국립대병원 등 권역책임의료기관의 지역 필수의료 중추 역할을 확립 강화하고, 지역거점 공공병원에 필수의료 운영비·시설·장비를 지원한다.
역량있는 전문의의 지역 장기근무 유도를 위한 지역필수의사제 시범사업을 도입하고, 전공의 지역배정을 확대한다.
2027년까지 전체 건강보험 수가에서 저수가 구조를 퇴출하며 올해 상반기에는 1000여 개의 수술·처치·마취 분야를 우선 집중 인상한다.
과학적 수가조정을 위한 의료비용 분석 기반을 확립하고, 상대가치점수 개편 주기를 5~7년에서 2년으로 대폭 단축하는 등 수가 상시조정체계를 구축한다.
사후보상·공공정책수가 등 지불제도를 혁신해 의료 질 및 가치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며, 필수의료 및 저평가 분야에 집중 투자하고 의료기관 종별 역전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환산지수 개편도 추진한다.
국민에게 꼭 필요한 의료를 적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응급의료기관 지정기준을 최종치료 역량까지 고려하도록 개편하고, 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 10개소를 신규 지정한다.
급성기 집중치료병원을 도입하고 권역정신응급센터를 11곳에서 14곳으로 확대하는 등 정신응급대응체계도 강화한다.
복지부는 또한, 의료비 부담 완화를 위해 치료에 꼭 필요한 비급여는 급여로 전환하고, 과잉·남용이 우려되는 비급여는 관리급여로 편입해 가격과 진료기준에 대한 관리를 실시한다.
중증·희귀질환 치료제에 대한 건강보험 등재 기간을 150일로 단축하는 시범사업도 추진하고, 재택 중증 소아 요양비와 장애인 보조기기 품목 지원 확대도 추진한다.
미래 의료비 부담을 절감하기 위한 예방적 건강관리도 강화한다.
의원급 의료기관이 지속적인 통합 건강관리를 제공하고 성과에 따라 차등 보상할 수 있도록 일차의료 혁신 시범사업도 추진한다.
C형 간염 등 적기 치료가 중요한 주요 질환에 대한 확진검사 비용 지원을 확대하고, 사회복지시설 등의 입소자 대상으로 출장 건강검진도 도입한다.
복지부는 이와 함께, 미래에 대응하는 보건의료환경 조성을 위해 의료기관 평가를 종별 역할·기능에 따른 성과중심 평가로 개편하고, 진료량 기반 대신 기관 단위 성과보상 등 더욱 합리적인 보상방식을 마련한다.
평가에 따른 행정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인력·시설 등 유사중복 구조지표를 조정하고, 주요 변수만으로 평가지표가 자동산출되는 변수 수집체계를 시범도입한다.
◆ 수요자 맞춤형 돌봄안전망
복지부는 먼저, 살던 곳에서 편안한 노후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의료-요양-돌봄서비스가 통합적으로 연계·제공되는 통합돌봄 지원체계를 마련한다.
오는 2026년 3월 전국 시행을 위해 시범사업 지역·대상·제공서비스를 확대한다.
신청부터 서비스 제공까지 개인별 맞춤형 지원을 위한 통합지원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자체가 원활한 통합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표준조례안과 업무지침도 마련한다.
지역사회 기반 노인돌봄 서비스를 확충한다.
중증 수급자 재가서비스 이용한도를 확대하고, 통합재가기관과 재택의료센터도 확충하는 등 장기요양 재가서비스를 강화한다. 또한, 신노인세대의 복합적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노인복지주택 최소서비스 기준 마련 및 공급부족지역 중심 요양시설 진입요건 개선방안도 검토한다.
복지부는 이어서, 장애인과 가족 모두의 일상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자 입원 등 긴급상황에서 최중증 발달장애인에게 24시간 긴급돌봄을 제공하는 전담 긴급돌봄센터 2곳을 신설한다.
활동지원서비스와 주간·방과후 활동서비스를 확대하고, 중증장애아동 돌봄 지원단가도 1만 4140원으로 인상한다.
장애인 건강보건서비스를 강화해 24시간 의료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의료집중형 거주시설을 시범 도입한다.
발달재활서비스 장애미등록 연령기준을 9세 미만으로 완화하고, 대상도 10만 4000명으로 확대한다.
의료이용-재활-건강관리를 포괄한 ‘제1차 장애인 건강보건관리 종합계획’ 수립도 추진한다.
복지부는 이와 함께, 고독사 실태 파악 및 위험군 발굴·예방을 강화하기 위해 고독사위기대응 시스템을 구축하고, 전담 사례관리사 114명을 신규 배치한다.
위기청년 전담 지원전달체계의 법적기반을 마련하고, 사례관리에 동의한 청년 자살시도자의 치료비 지원(100만원) 요건을 완화하고, 우울·불안 등 정서적 어려움을 겪는 국민 대상 심리상담 서비스 제공도 확대한다.
◆ 초고령사회 본격 대응
복지부는 먼저, 지속가능성·세대형평·소득보장 강화를 위한 상생의 연금개혁을 추진한다.
정부 개혁안을 토대로 국회 논의가 조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개혁에 대한 국민 공감대 형성을 위한 홍보도 강화하며, 장기수익률 1%p를 위해 기준포트폴리오도 시행한다.
건강보험의 보험료 부과의 형평성 제고를 위해 지역가입자 재산보험료 정률제 전환을 검토한다.
해마다 건강보험 중기 재정전망을 실시·공개하고 적정 준비금 관리·운영계획을 수립해 투명하고 건전한 재정운영을 도모한다.
복지부는 이어서, 출산율 반등을 위한 출산·양육 부담을 경감한다.
지역·혼인여부 등과 관계없이 모든 20~49세 남녀 대상 필수 가임력 검사비를 지원하고, 영구불임이 예상되어 가임력 보존이 필요한 경우를 위한 생식세포 동결·보존비를 여성 200만 원, 남성 30만 원 지원도 신설한다.
자연분만과 동일하게 제왕절개 비용을 0%로 하고, 산후조리원 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평가 의무화 및 결과 공표를 추진한다.
난임·임산부심리상담센터를 12곳으로 확대해 산전·후 우울증을 겪는 부부에 대한 심리·정서지원도 강화한다.
조기치료 제공을 위해 3세 이하 재활치료료 가산을 30%+α로 확대하고, 이른둥이 외래 본인부담 경감도 강화(생후5년→+이른출산개월)한다.
또한, 노인일자리(5000개)를 통해 아이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 초등돌봄을 위한 다함께 돌봄센터도 1372개로 확대한다.
복지부는 이와 함께, 바이오헬스 육성을 통한 미래성장동력을 확보한다.
보건의료 R&D에 전년 대비 17% 증가한 약 1조 원을 투자하고, 도전·임무형 및 국제공동연구 중심으로 보건의료 R&D체계를 개편한다.
글로벌 도약을 위한 산업별 핵심 규제도 혁신한다.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기준을 개편하고, 시장즉시 진입 가능 의료기술 제도를 시행한다.
외국인환자 유치를 위해 유치경로 실태조사를 제도화하고, 'K-의료 해외진출 활성화 전략'도 수립한다.
신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의료데이터 및 첨단재생의료도 활성화하고, 건강정보 고속도로를 모든 상급종합병원과 연계하며 국가 통합바이오 빅데이터 참여자 모집 규모도 19만 명으로 대폭 확대한다.
문의: <총괄>보건복지부 정책기획관 기획조정담당관(044-202-2303), <사회복지>복지정책관 복지정책과(044-202-3008), <인구>인구아동정책관 인구정책총괄과(044-202-3363), <의료개혁>의료개혁추진단 의료개혁총괄과(044-202-1861), <보건산업>보건산업정책국 보건산업정책과(044-202-2903)
[자료제공 :(www.korea.kr)]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