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벼 재배면적 조정제 시행…8만㏊ 감축 목표
작성자 정보
- 부동산 작성
- 작성일
본문
농림축산식품부는 쌀산업을 소비자 수요에 맞는 고품질 쌀 적정생산 체계로 개편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벼 재배면적 8만㏊ 감축을 목표로 내년부터 벼 재배면적 조정제를 시행하고, 전략작물직불제를 올해 1865억 원에서 내년 2440억 원으로 확대한다.
또한, 고품질 쌀 전문생산단지(50~100㏊)를 지정·운영하고, 최우수 품종을 15개 안팎 새롭게 선정해 정부 보급종으로 집중 보급한다.
아울러, 산지유통 구조를 고품질·단일품종 중심으로 전환하고 고품질 쌀 생산과 전략작물 전환을 위한 생산기술 연구개발(R&D)을 추진한다.
농식품부는 쌀 산업이 생산보다 소비량 감소율이 더 큰 구조적 공급과잉 상태이며, 2005년 이후 12차례에 걸친 시장격리에도 불구하고 쌀값 불안정이 반복되고 있어 구조적인 쌀 공급과잉 해소를 위해 쌀산업 구조개혁 대책을 마련했다고 12일 밝혔다.
농식품부는 쌀 산업이 더 이상 시장격리에 의존하지 않고도 수급안정을 유지하고, 소비자 수요에 기반한 고품질 중심 생산체계로 전환할 수 있도록 벼 재배면적 감축, 품질 고급화 등 5대 주요 과제를 추진하기로 했다.
◆ 재배면적 감축
농식품부는 벼 재배면적 8만㏊ 감축을 목표로 내년부터 벼 재배면적 조정제를 시행한다.
감축 면적 8만㏊를 시·도별로 배정하고, 농가는 타작물 전환, 친환경 전환 등 다양한 방식으로 면적 감축을 이행하게 된다.
감축을 이행한 농가 중심으로 공공비축미 매입 등 정부지원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어서, 벼 재배에서 타작물로 전환하는 농가를 지원하기 위해 전략작물직불제를 올해 1865억 원에서 내년 2440억 원으로 확대하고, 하계 조사료와 밀의 경우 지급단가를 인상해 지원한다.
또한, 식품기업과 연계해 콩 등 전략작물의 제품개발·판촉 등 소비기반 확대를 지원한다.
아울러, 논에 타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배수개선과 논 범용화 등 타작물 생산기반 지원도 확대하고, 신규 임대 또는 계약 갱신 간척지에 대해서는 일반 벼 재배 제한(내년 1300㏊)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효과적인 재배면적 감축 이행점검을 위해 위성사진을 활용한 재배면적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고, 농가 간 감축면적 거래 등 다양한 이행방식을 발굴해 현장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 품질 고급화
농식품부는 고품질 품종 중심으로 생산·소비구조를 전환한다.
이를 위해 우선, 고품질 쌀 전문생산단지(50~100㏊)를 지정·운영해 생산자단체 주도로 비료 저감, 고품질 쌀 생산을 담당하며, 시·도별로 내년 1곳씩 시범 운영하고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이어서, 정부 보급종 공급체계를 소비자 선호 품종 중심으로 개편해 나갈 계획이다.
맛, 향이 뛰어난 최우수 품종을 15개 안팎 새롭게 선정해 정부 보급종으로 집중 보급하고, 지역보다는 품종 중심으로 소비자 인식을 전환하기 위해 단일품종·인증쌀(친환경 등) 등 품종별 특성을 부각한 홍보를 추진한다.
또한, 단수가 낮고 품질이 좋은 친환경 벼 재배를 2029년 6만 8000㏊까지 확대한다.
이를 위해 친환경 벼는 공공비축미 매입 때 인상된 가격으로 우선 매입하고, 일반 벼에서 친환경 벼로 전환 때 공공비축미로 전량 매입하며 친환경직불 논 단가도 인상한다.
아울러, 고품질 쌀 생산·유통 확산을 위해 양곡표시제를 개편한다.
현재 임의 사항인 단백질 함량 표시를 의무사항으로 변경하고, 쌀 등급 중 ‘상’, ‘보통’ 대상으로 싸라기 최고 혼입 한도를 하향한다.
◆ 신규수요 창출
농식품부는 식품기업의 민간 신곡 쌀 활용을 확대하기 위해 제도를 개선한다.
정부양곡에서 민간 신곡으로 전환하는 식품기업에 대해서는 식품·외식 정책자금 우대를 제공하는 한편, 식품기업·미곡종합처리장(RPC)와 연계한 수출·가공용 생산단지를 시범 구축하고 가공밥류 정부양곡 공급은 단계적으로 제한한다.
이어서, 전통주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세제 혜택과 규제 완화를 추진하고 제조업체 부담 완화를 위해 내년부터 주세 감면 구간을 확대하고 지역특산주 주원료 기준을 완화한다.
또한, 쌀가공식품·쌀 수출을 확대한다.
쌀가공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쌀가공식품 수출 현지 홍보관을 싱가포르·중국 등에 신설하고, 온라인 B2B 판매관 확대 등 판로를 지원한다.
밥쌀용 쌀은 싱가포르 등 유망한 신규 시장을 중심으로 단계적으로 수출을 확대한다.
아울러, UN 기구인 유엔세계식량계획(WFP) 등과 협력해 아프리카·아시아 중심으로 식량원조를 올해 11만 톤에서 내년 16만 톤으로 확대한다.
◆ 산지유통 경쟁력 강화
농식품부는 산지유통 구조를 고품질·단일품종 중심으로 전환한다.
고품질 쌀 유통 RPC를 지정하고, 생산부터 가공까지 이력을 관리하는 생산이력제를 시범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혼합미 비율을 낮추기 위해 정부지원 RPC의 단일품종·고품질 쌀 매입을 유도한다.
이어서, 산지유통 산업 체질을 개선하기 위해 시장 거래질서 확립과 RPC 수익구조 개편을 추진한다.
또한, 경영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해 회계정보 공시, 경영계획서 제출 의무화 등을 추진하고, 저가판매 등 시장교란 행위를 제재한다.
◆ R&D 기반 확충
농식품부는 고품질 쌀 생산과 전략작물 전환을 위한 생산기술 R&D를 추진한다.
쌀 적정생산을 위한 비료 저감 기술과 지역별로 전략작물 이모작 모델을 개발하고 논 재배에 적합하도록 논 콩, 유지작물(깨)을 대상으로 품종·재배기술을 개발·보급한다.
이어서, 장립종·헬스케어 등 유망 식품분야 맞춤형 R&D를 지원한다.
외국인 수요가 높은 장립종은 품종개발 신규 R&D를 추진하고, 헬스케어 식품은 혈당 저감 기능성 품종 등을 활용한 소재화, 제품개발을 지원한다. 또한, 현장에 기반한 R&D 수요 발굴을 위해 쌀가공식품 R&D 협의회를 운영한다.
최명철 농식품부 식량정책관은 “쌀산업 구조개혁 대책 추진으로 구조적인 쌀 공급과잉을 해소하고, 관행적 생산체계를 소비자가 원하는 고품질 ·친환경 체계로 전환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면서 “쌀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쌀값 안정에도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도록 정책 과제를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문의: 농림축산식품부 식량정책관실 식량정책과(044-201-1829)
[자료제공 :(www.korea.kr)]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